분류 전체보기 732

가고싶은 방향을 찾아서~

하루하루 열심히 사는건 같다. 일을 하면서 잘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마음 처럼 안될때 답답해 하는거 같다. 답답한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아무것도 되지 않기에 자신만의 탈출구를 찾아야한다. 산책을 한다든지 게임을 한다든지 영화나 노래방을 가거나 자신만의 특별한 해소법을 찾아야한다. 나만의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글을 보시는 많은 분들도 가고자하는 방향을 찾으면서 스트레스 조절 방법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즐거운 금요일 되세요.

하루를 지키는 힘

하루를 온전히 일로 접할때 가장 힘든것이 모든에너지를 쓰고 집에 올때 녹초가 되어 자신 자신조차 컨트롤이 안되고 바로 잠을 청하게 된다. 그 시간을 독파해서 내자신이 힘을 충전할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하고 싶은 일을 지속하려면 하루를 지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혹시나 평상시 마음 컨트롤을 할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별박사의 인사이트) 모든 비지니스는 문제 정의로부터 시작된다.

세상의 모든 비지니스는 문제 정의로 부터 시작된다. 물론 비지니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도 적용된다. 그중 비지니스쪽을 살펴보고자 한다. 모든기관과 기업의 경영진들은 블록체인, 인공지능, SOAR, 클라우드, 양자컴퓨팅 등의 디지털 전환(DX) 이야기를 많이 듣고 적용하라고 한다. 문제는 실무자 입장에서는 두려워하고 지금도 하는일이 많은데 무리하게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더불어 현장 실무 경험을 가진분들의 노하우를 알지 못하기에 IT인 입장에서는 툴로만 접근하려고 하지만 운영측면으로 들어가면 쉽지 않는 부분이 있다. 그 역시 문제 정의가 잘못되고 접근법이 잘 못되어 엉뚱한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항상 고민하는 숙제지만 문제에 집중해야한다. 오늘도 여러분에게 알찬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저도 문제..

경기가 어려워지는걸까?

세계는 지금 경기가 침체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 전쟁터에 있지 않는이상은 체감을 직접적으로 느낄수 없겠지만 간접적으로 느낄수 있다. 이유는 음식과 편의점등에서 사는 물건들이 천원가지고 사먹을게 없다는것이다. 이제 아이들에게 만원을 줘도 하루 생활하기도 어려운 현실이긴 하다. 물론, 안쓰고 라면 하나 사서 먹고 버티면 되는거 아니냐고 하면 할말은 없다. 전부 삶의 방식은 다르니깐 말이다. 그럴때일수록 힘내자. 화이팅^^

레트로 시대가 다시 오다

최근 아침마다 이동하며 주위환경을 보는데 달라진점이 있다. 평상시 교통편을 타면 핸드폰이나 테블릿을 보고 게임이나 유튜브등을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게 되었는데 종이책을 읽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것이다. 아주 큰 변화라 볼수 있다. 즉, 살아가는동안 시대가 변해도 유행과 사업방식 및 기초기술은 변하지 않을것이다. 그러므로, 하고 있는 일들을 신기술 생태계에 녹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가령 오프라인만 사업전개를 했다면 온라인쪽도 병행해서 진행해야한다. 이유는 알파세대들이 온라인에 익숙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라면을 먹을때도 좋아하는 채널을 틀고 먹기 때문이다. 이처럼 디지털 문화에 빠져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앞으로 더 재미 있는 인생를 즐기려면 다양한 경험과 디지털 신기술을 접하기를 권장한다. 오늘도 화이팅 하는..

관점의 차이

요즘 트렌트 코리아 2024에대해 유투브도 보고 블로그를 보다 결국 책까지 샀다. 각 보는 관점에 따라 다르겠지만 역시 종이책이 주는 다른 느낌이 있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직접 책을 구입해서 읽어 보시라고 전하고 싶네요. 또한, 페이지 양이 많아 미묘하게 설명이 안된 부분도 있고 책을 통해 느끼는 감정은 다르니 참고하세요^^

트렌트 코리아를 보면서

앞으로의 사회는 시간과 분 그리고 초를 가지고 살아가는 분초사회가 된다고 합니다. 최근 출판돈 김난도 교수님의 트렌드 코리아 2024 를 보면 이제는 분단위로 살아가는 사회 같네요. 모든일상의 변화가 시간단위로 나누어쓰는 사회가 오듯 저희들의 그 사회에 맞게 일을 해야한다는것이다. 어쩌면 모든일들이 분초 단위로 계신하는것은 그만큼 전문가 시대가 온다는것이다. 지금 부터라도 하나씩 기술 연마를 하길 권장드립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