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꿈꾸는 별이입니다.
하루 하루 글을 적는다는것은 참으로 힘든것 같지만, 최선을 다해 글도 남기고 자격증 공부도 하려고 합니다.
유닉스 시스템 로그 관리란?
첫째, 유닉스 시스템 로그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명령어 를 습득 하는것 인것 같습니다.
로그파일명 |
설명 |
acct/pacct |
사용자 별로 실행되는 모든 명령어를 기록 |
.history |
사용자별 명령어를 기록하는 파일로 csh,tcsh,ksh,bash 등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쉘에따라 .history, .bash_history 파일등으로 기록 |
lastlog |
각 사용자의 최종 로그인 정보 |
logging |
실패한 로그인 시도를 기록 |
messages |
부트 메시지 등 시스템의 콘솔에서 출력된 결과를 기록하고 sysload에 의해 생성된 메시지도 기록 |
sulog |
switch user(su 명령어) 관련기록 |
syslog |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의 주요 동작내역 |
utmp |
현재 로그인한 각 사용자의 기록 |
wtmp |
사용자의 로그인, 로그아웃 시간과 시스템의 종료시간, 시스템 시작 시간등을 기록 |
둘째, 유닉스 시스템 백업 및 복구 보안
침입자에 의해 시스템의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파괴되었을때, 가장 안전하고 정확한 복구 방법은 백업 및 복구대책이다.
(1) 백업대책
- 백업대상 분류 : 전체, 중요 파일, 로그파일 등 기준에 의하여 백업 대상을 지정하는것
- 백업 주기: 현재 수행하고 있는 백업의 주기는 일/주/월 단위 및 수시 백업으로 분류
- 백업종류: Full backup, Differntial Backup/incremental Backup, day zero Backup,Real Time Backup,
Scheuled Backup 등이 있다.
(2) 복구대책
- 복구 우선순위: 본질적 업무 기능(30분 이내), 중요 업무기능(24시간 이내), 부가업무기능(48시간 이내)
등으로 분류
- 목표 복구 수준: 특정 백업 시점, 전일 백업 시점의 데이터로 복구
* 특정 백업 시점(I), 전일백업 시점(D)
- 목표 복구 시간: 30분이내, 3시간 이내, 24시간 이내, 48시간 이내로 분류
(3) 백업과 복구 유닉스 명령어
#ufsdump options : 백업
0-9 : 0:Full dump,1~9: incremental backup
u: /etc/dumpdates에 write, incremental backup 가능하도록 처리
f : device 장치명시, 디폴트는 tape
v : view
# ufsrestore : 복구
(4) 불필요한 서비스의 제거
시스템 운영에서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를 위하여 다음절차를 수행한다.
-#netstat -an을 통하여 현재 사용, 준비하고 있는 서비스 포트를 확인한다.
명령어의 실행결과에서 Listen 으로 응답하는 포트는 외부사용자가 접속할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서비스 포트로서, 현재 사용중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드시 사용유무를 확인하여 제거해야한다.
- "#netstat -an"의 처리결과 Listen 상태인 서비스 포트의 내용을 /etc/services 파일의 내용과 비교하여 서비스 포트의 내용을 참조한다. 그리고 /etc/inetd.conf 파일에서 해당서비스 항목의 첫 라인에 주석처리한다
(#을 해당라인에 삽입)
- "ps -ef | grep inetd"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사용중인 서비스 포트들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인터넷
슈퍼데몬의 프로세스 ID 를 확인한다.
- "kill -HUP 318(inetd's process ID)" 인터넷 슈퍼 데몬을 재수행하여 /etc/inetd.conf 파일에서 사용을 금지하도록 설정한 서비스 포트의 상태를 재인식하도록 명령함.
- "#netstat -an" 명령어를 사용하여 해당 서비스 포트에 대한 결과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면 조치가 완료됨
셋째, 유닉스 배치 작업(at, cron)
(1) at설정
# at 1045
10시 45분 특정한 job(shell_script_file)을 수행하도록 처리함
# var/spool/cron/crontabs 파일을 수정하여 주기적으로 job을 수행하도록 한다.
[참고] 명령어는 Full path 를 지정해야한다.
(2) cron 설정
crontab 파일 구문(syntax)은 "minute hour day_of_month month weekday command" 이다.
o crontab 파일 구문- minute(분) : 0 ~ 59 - hour(시) : 0 ~ 23 - day_of_month (일) : 1 ~ 31
- month(월) : 1 ~ 12 - weekday(요일) :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를 나타내는 0 ~ 6
- command(명령) : 실행 명령
예를 들어, “0 0 * * 0 /bin/myjob.sh” 은 매월 일요일 0시 0분에 /bin/myjob.sh 명령어를 실행하라는
뜻이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 더 상세히 추가 보완 할것이다.
'별이의 IT이야기 > 정보보안기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기] 정보보호 법규(I) (0) | 2017.05.26 |
---|---|
정보보안 기사 요약집 -시스템 보안(1) (0) | 2014.03.23 |
[정보보안기사_암호학 1] 안정성 모델과 정보 이론 (0) | 2014.03.17 |
[1 days] 정보보안 기사를 공부 시작.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