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의 IT이야기/정보보안

[기초 용어 정리 1탄] unix개념과 유닉스 directory 및 쉘구조

빅러닝 2012. 7. 17. 22:32
반응형

안녕하세요. 꿈꾸는 별이입니다.

 

저또한 관련 IT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IT 에 근무한지도 10년 이상 되었지만 많은것을 머리속으로만 가지고 있지

누군가에게 전파하려고 한적은 없었던 것 같네요.

 

최근들어 여러가지 업무를 하다보니 기존에 알고 있던 용어를 잊어 버리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업무하는데 있어서는 불편함은 없지만 관련지식을 잊어버리지 않고

많은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적어 보려고 합니다.

 

우선 unix 란 무엇일까요?

모든 공학도 분들은 항상 책을 보고 강의를 통해 들었던 내용 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뛰어난 이식성과 멀티태스킹과 다중시스템 및 광범위한 소프트웨어의 모음 등

주요한 특징들 때문에 유닉스는 개발당시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도 적절하고 유용한 운영체계로 사랑받고있다.

 

지금부터는 unix 디렉토리에 대한 상세적인 내용을 숙지 하기 위해 기록을 합니다.

IT 를 공부하시는 분들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강에서는 유닉스 디렉토리와 유닉스 쉘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 유닉스 디렉토리 구조-

 

/dev : 디바이스 파일을 주로 포함하는 directory이다. (일반 파일이 있으면 수상하다)

/etc : 시스템을 관리하는 directory이다.

/sbin : 단독으로 실행할수 있는 파일을 포함 하는 directory 폴더 이며, 시스템의 시작에 필요한 것들이 있음

/tmp : 임시 directory 이다.

/bin : 시스템 바이너리 파일이 포함하는 directory이다.

/lib : 시스템 라이브러리 파일을 포함하는 directory이다.(유틸,패키지포함)

/var : 계정정보 와 계정관리 및 시스템 통계를 담당하는 directory이다.

/usr : 각종 실행 프로그램이나 온라인 메뉴얼 등을 포함하는 directory이다.

 

- 유닉스 쉘 구조-

 

.login 특정쉘에 관계없는 초기 사용자 환경을 지정하여 로그인할때 지정한 명령들을 자동수행한다.

.logout 시스템을 종료하기 위해 쓰는 파일이다.

.forward 자신에게 온 전자우편을 다른곳으로 그대로 전송하기 위한 파일 이다.

.gopher 고퍼에서 사용하는 directory이다..

.history 쉘을 사용할때 수행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ncrecent ncftp 사용할때 최근에 접속한 곳의 주소 및 위치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newsrc 유즈넷 뉴스 그룹이용시 그룹환경 저장파일이다.

.plan finger 용으로 자신의 정보나 계획을 적어 외부에 공개하는 파일이다.

.rhosts rlogin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접속할때 암호를 묻지 않고, 자동으로 접속할 수 있는 호스트 및 사용자를 정의한다.

 

다음시간에는 unix 명령어와 다른 시스템의 명령어도 정리해보려고 한다.

많은 분들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